중국의 지형과 지리, 중국사 시대 구분
1. 중국의 지형과 지리
1) 행정단위: 23개성, 4개 직할시, 5개 자치구, 2개 특별행정구역
① 23개성
: 요녕성, 길림성, 흑룡강성/ 하북성, 산서성/ 하남성, 호북성, 호남성/ 강소성, 절강성, 안휘성, 강서성, 산동성/ 복건성, 대만성/ 광동성, 해남성/ 섬서성, 감숙성, 청해성/ 사천성, 운남성, 귀주성/
② 4개 직할시
: 북경시(北京市), 천진시(天津市), 상해시(上海市), 중경시(重慶市)
③ 5개 자치구
: 내몽고자치구, 광서장족(壯族)자치구, 영하회족(回族)자치구, 신강(新疆)위구르자치구(우루무치시), 서장(西藏)자치구(라싸시)
④ 2개 특별행정구역
: 홍콩(1997, 영국이 반환), 마카오(1999, 포르투칼이 반환)
<참고>
ㆍ총 56개 민족: 한족 +55개 소수민족
ㆍ구성: 한족(약 93%)>장족(壯族)>만족(滿族)> 회족 …… 조선족(14위)
2) 지역
① 화북: 하북성, 산서성/ 북경시, 천진시, 내몽고자치구(중부)
② 동북: 요녕성, 길림성, 흑룡강성/ 내몽고자치구(동부)
③ 화중: 하남성, 호북성, 호남성
④ 화동: 강소성, 절강성, 안휘성, 강서성, 산동성/ 상해시
⑤ 동남: 복건성, 대만성
⑥ 화남: 광동성, 해남성/ 광서장족자치구/ 홍콩, 마카오
⑦ 서북: 섬서성, 감숙성, 청해성/ 영하회족자치구, 신강위구르자치구
⑧ 서남: 사천성, 운남성, 귀주성/ 중경시, 서장자치구
<참고>
ㆍ대한민국: 99,000㎢ +북한: 125,538㎢ = 224,538㎢(한반도)
ㆍ중국: 9,596,961㎢(한국의 약 97배) / 복건성: 123,603㎢ / 신강위구르자치구: 1,660,000㎢(한국의 약 7.4배) / 대만: 35,980㎢(한국의 약 36%)
ㆍ장강(長江): 6,397㎞ / 黃河: 5,464㎞ / 珠江: 2,320㎞ / 黑龍江: 4,350㎞
3) 오악(五岳;
|
> |
해발 높이 |
위치 |
동악 |
태산(泰山) |
1532.7미터 |
산동성 태안시(泰安市) |
남악 |
형산(衡山) |
1300.2미터 |
호남성 형양시(衡陽市) |
서악 |
화산(華山) |
2154.9미터 |
섬서성 화음시(華陰市) |
북악 |
항산(恒山) |
2016.1미터 |
산서성 혼원현(渾源縣) |
중악 |
숭산(嵩山) |
1491.7미터 |
하남성 등봉시(登封市) |
<참고> 삼산(三山)
① 봉래산(蓬萊山), 영주산(瀛州山), 방장산(方丈山): 삼신산(三神山)
② 안탕산(雁蕩山; 절강성), 여산(廬山; 강서성), 황산(黃山; 안휘성)
③ 아미산(峨眉山; 사천성), 여산(廬山), 황산(黃山)
<참고> 중국불교의 사대명산(四大名山)
① 산서성 오대산(五臺山): 문수보살 성지/ 해발 3,058미터(최고봉)
② 절강성 보타산(普陀山): 관세음보살 성지/
③ 사천성 아미산(峨眉山): 보현보살 성지/ 해발 3,099미터(최고봉)
④ 안휘성 구화산(九華山): 지장보살 성지/ 해발 1,344미터(최고봉)
2. 중국사 시대구분
1) 하나라: B.C.22C말 ~ B.C.17C초. 총 17대
2) 상나라: B.C.17C초 ~ B.C.11C까지. 총 30대
3) 주나라:
(1) 서주(西周, B.C.1046(?)∼B.C.771) (12대)
(2) 동주(東周, B.C.770~B.C.256) (25대)
① 춘추시대: B.C.770~B.C.403
② 전국시대: B.C.403~B.C.221
4) 진(秦)나라(B.C.221~B.C.206)와 시황제(始皇帝)
5) 한나라
(1) 전한(前漢, B.C.202~A.D.9)
(2) 신(新, 8~23)
(3) 후한(後漢, 23~220)
6) 위진남북조(220~589)
7) 수나라(581~618)
8) 당나라(618~907)
9) 오대십국(907~960)
10) 북송(北宋, 960~1127)과 남송(南宋, 1127~1279)
11) 원나라(1271~1368)
12) 명나라(1368~1644)
13) 청나라(1636~1911)